반응형

오마이스쿨 2019년 경제전망 패키지를 구입해서

오프라인으로 참가하지 못한 김광석 님의 2019 경제전망을

온라인을 봤습니다.

4강에 대한 대략적인 요약은

2019년 한국경제의 주요 이슈

  1. 구조적 장기침체 오는가
  2. 저녁 있는 삶 VS 돈 없는 저녁
  3. '고용 없는 경제'의 고착화

경제는 GDP다
GDP = 민간소비  + 기업 투자 + 정부지출 + 순수출(수출-수입)
민간소비 +  기업투자를 내수라고 한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급락하고 있다.
민간소비도 둔화되고 있다.
투자는 고용을 결정 짓는다.
투자가 진척이 안되는데  고용이 늘어날 수가 없다.
고용정책은 고용에 있지 않고 투자에 있다

평균소비성향 = 소비지출액 / 가처분소득 * 100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다. ( 고령화 사회가 아니다 )
우리나라는 그 어떤 나라보다 고령화속도가 빠른데 특히 60대 평균 소비성향이 더 떨어지기 때문에
빠른 고령사회 진입과 고령인구의 소비성향의 하락이 맞물려 앞으로의 소비성향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DSR( 채무상환비율 ) = 원리금상환액 / 소득

우리나라는 반도체 수출 비율이 높다.
만약에 반도체 수출이 문제가 생기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반도체 설비투자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고용 없는 경제의 지속 요인
  1. 구조적 요인 : 주력산업들을 다른나라들에 건내주면서 산업구조가 변화하였기 때문에 ( 반도체는 인력이 많이 필요 없다 )
  2. 경기적 요인 : 저성장이 장기화 되고 있고 기업들이 투자를 위축시키고 있는데 고용이 있을 수 없다. 
  3. 정책적 요인 : 근로조건을 개선을 하면 고용을 창출 할 수가 없다 ( 임금 인상의 압박 때문에 ) 근로조건과 일자리양은 두마리 토끼 ( 실현하기 힘들다 )
  4. 산업 기술적 요인 : 한국에서 경영 안하고 해외로 이전한다. 로봇으로 대체 한다.

우리나라 경제를 한마디로 "슬픈 발라드"가 될 것이라고 하시네요


그러나 위기속에서도 기회가 있기 때문에 잘 대응해서

우리의 돈을 지킬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