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간을 이기는 주식투자 불변의 법칙 - 저자 : 이성수 중에서

성장성을 가늠하는 기준은 매출성장률, 이익성장률, 자기자본 기준 등 다양한 항목이 있지만,
필자는 마지막으로 매출액성장률과 EPS를 활용한 적정 주가 공식을 권해 드린다.
매출액성장률은 회사의 성장 모멘텀에 가장 중요한 잣대가 된다.
이를 이용한 적정주가 공식은 매우 쉽다. PER를 이용한 제1공식에서 계산한 예상 EPS값과
매출액성장률 값만 구하면 된다.

초간단 적정주가 제3공식 = 매출액성장률(% 삭제) × 예상 EPS

그렇다면 매출액성장률은 어떻게 구할 것인가? 
(HTS에서 보거나 재무제표를 보면 되겠죠... 저자님)

곧바로 예를 보시겠습니다. 머 매번 하던 녀석을....


PER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1공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상 EPS가격은 6,454였고
매출액 성장률은 전년대비 18.7프로 머 2018년4분기 성적표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머 대충 15~18프로 정도 사이가 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반도체가 4분기때 우울했었으니)

매출액성장률(% 삭제) × EPS = 15~18 × 6,454원 = 96,810 ~ 116,172원 

이렇게 나온 세 번째 적정주가는 생각보다 크다. 회사의 성장성과 비전 등이 반영되어 
주가에 프리미엄이 충분히 붙는다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출액성장률을 이용한 적정주가는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게 된다. 신생 기업의 경우, 매우 고평가된 적정주가가 나올 수 있음을 약간은 경계해야 한다.

PER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1공식 : 64,540원 (2018년 추정치)
PBR를 이용한 적정주가 제2공식 : 34,519원 (2018년/09월 분기까지)
매출액성장률을 이용한 적정주가 제3공식 : 96,810 ~ 116,172원

자 이제 HTS를 열어서 한번 정리를 해볼까요??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 가격은 저자가 말한 공식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제1공식 위를 약간 올라간 상태며,
제2공식 주가에는 훨씬 못 미치고 있기 때문에 현재 가격이 상당히 괜찮은 가격대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당분간은 요런식으로 분석을 해보면서 관심 종목을 뜯어먹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