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워렌 버핏만 알고 있는 주식투자의 비밀 - 쉽게 배워 바로 활용하는 | 데이비드 클라크, 메리 버핏(지은이), 김상우 (옮긴이) 중에서
워렌 버핏이 투자하고 싶어 하는 기업의 특징은 무엇일까?
수십 년 이상 보통주에 열심히 투자하면서 워렌 버핏은 나쁜 뉴스 현상과 결합된 주식시장의
근시안적 행태를 이용하려면 나쁜 뉴스에 살아남을 뿐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나쁜 뉴스에 주식을 파는 투자자와 펀드를 철저히 이용하였는데,
그러기 위해 자신이 투자하려는 기업이 재정적으로 튼튼할 뿐만 아니라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워렌 버핏은 기업을 두 개의 부류로 나눴다.
첫 번째 부류는 비실이파로, 열약한 경제적 가치를 가진 회사들이 이에 속한다.
워렌 버핏은 이런 회사들을 '상품형 기업'이라고 부른다.
상품형기업들은 다른 많은 기업들도 만들어 파는 평범한 제품을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기업들이다.
두 번째 부류는 튼튼이파로, 아주 훌륭한 경제적 가치를 가진 기업들이 이에 속한다.
예컨대, 코카콜라와 가이코, 워싱턴 포스트가 이런 기업에 속한다.
이런 회사들을 '소비자독점 기업'이라고 부른다.
소비자독점 기업은 유명한 제품을 팔거나 사업 흐름상 독특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마치 독점 기업처럼 행동할 수 있는 기업을 말한다.
소비자가 특별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원한다면, 다른 회사가 아니라
바로 그 소비자독점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밖에 없다.
이런 지위로 인해 소비자독점 기업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제품 가격을 인상해 보다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소비자독점 기업들은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
이들 기업은 사업의 기복이 적고 근시안적인 주식 시장이 과민 반응하는 악재를 극복할 수단도 가지고 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중요한 일은 이 두 가지 형태의 기업을 구분하는 것이다.
어떤 기업이 상품형 기업인지, 그 기업의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또한 소비자독점 기업은 무엇이고 그 기업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도 알아야 한다.
워렌 버핏이 말한 대로 '좋은 주식은 결코 팔아서는 안 된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힘든 것 중에 하나 인거 같습니다.
소비자독점 기업을 찾는 것이... 어떤 기업이 있을까요?
바로 드는 생각은 애플, 삼성전자, 코카콜라, 질레트를 보유하고 있는 P&G?, KT&G 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이런 기업들이 또 무엇이 있을까? 계속 고민하고 있는데 막상 떠오르는 것은 별로 없습니다.
다른 분들이 생각하시는 소비자독점 기업은 어떤것이 있는지 댓글로 좀 알려주세요~~
반대로 상품형 기업에 속하는 기업은 무엇이 있을까요.??
개인적으로는 현대자동차, 철강 회사, 여행 관련 회사, 항공 회사 정도 생각이 납니다.
가격 경쟁으로 매출 경쟁이 일어나는 기업들은 상품형 기업에 속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머 그렇게 따지면 삼성전자 반도체 시장도 치킨게임을 벌이긴 하는데
반도체시장은 좀 다른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초기 진입 장벽이 너무 높아서
쉽게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사업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머 그렇게 따지면 자동차 제조업체, 철강 회사도 비슷하긴 하겠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업들을 고르는게 쉽지 않네요. 댓글로 의견을 달아주시면
그 기업들을 위주로 조사를 해보고 싶네요.
본격적인 설 연휴가 시작되었습니다. 1일 1포스팅을 목표로 계속 달려오고 있는데
연휴에 과연 포스팅을 할 수 있을지 조금 의문이 듭니다.
만약에 글을 못 올린다고 하면 어찌되었던 포스팅을 하루에 여러개 올리던지 해서
1일 1포스팅의 갯수를 채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에는 자기돈을 지키면서 대박 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실한 상품형 기업을 어떻게 찾아낼까? (0) | 2019.02.06 |
---|---|
상품형 기업에는 절대로 돈 낭비하지 마라 (0) | 2019.02.06 |
방어 제2법칙 : 지뢰를 피하라, 방어 제3법칙 : 신기루를 피하라! (1) | 2019.02.02 |
손실을 원천봉쇄하는 방어의 법칙 (2) | 2019.02.01 |
매출액성장률을 이용한 적정주가 제3공식 (2) | 2019.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