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강에서는 재무제표라는 것은 어떤 것인지
우리는 투자를 위해서 재무제표를 보는 것이지
공부를 위해서 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볼 것인지
우리가 재무제표를 분석할 때
봐야 될 최소한의 내용들은 어떤 것인지
재무제표의 보는 방법등을 설명해주는 강의 입니다.
재무 제표가 무엇인가?
재무 제표는 복잡한 것이 맞다.
전문가가 아닌 이상 분식 회계를 잡아내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모뉴엘 사태
- PC 및 소형 가전 제조 회사인 모뉴엘이 허위 매출을 꾸며 6년간 총 3조 6천억 원을 대출받은 사태
주식을 구매하는 두 가지 방법
- 외모(일시적 트렌드)를 보고 산다.
- 성격(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보고 산다.
사람에게 건강진단서가 있는 것 처럼 기업엔 재무제표가 있다.
재무제표는 주식 투자의 절대적인 지표가 아니다.
재무제표 = 기업의 건강진단서
건강검진표와 재무제표의 공통점
- 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요조건을 찾는 것이다.
- 미래는 모른다. 오로지 과거만을 알 수 있다(차트와 공통점)
사서는 안될 주식을 고르는것이다.
재무제표의 활용
- 좋은 주식을 고르는 것이 아닌, 나쁜 주식을 고르는 데 사용(사서는 안될 주식을 고르는 것)
재무제표의 한계
- 기업의 미래를 알 수 없다. 과거만 알 수 있다.
건강검진표와 재무제표의 차이점
- '실수'와 '사기'의 차이
- 해석해주는 사람이 있느냐의 유무
재무제표
- 재무상태표
- 특정 시점에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부채/자본을 보여주는 재무보고서
- 손익계산서
- 일정 기간동안 기업의 경영 성과를 나타내기 위한 재무보고서
- 현금흐름표
-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이 어떻게 현금을 조달하고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재무보고서
- 자본변동표
- 자본의 변동을 보여주는 재무보고서
- 주석
- 제일 중요한 부분이다. 주석 보는 능력을 키워라
매출채권과 미수금의 차이
- 매출 채권 : 사업 관련 외상액
- 미수금 : 사업 외 외상액
부동산의 분류
- 사업 상에 쓰이면 유형자산
- 시세 차익을 노리면 투자자산
무형자산 : 특허권, 영업권 같은 것
기타비유동자산
- 비유동 자산 중 투자/유형/무형 자산 외의 자산
- 전세권, 임차보증금, 이연법인세자산 등
매입채무와 미지급금의 차이
- 매입채무 : 사업상 관련된 채무
- 미지급금 : 영업 외의 활동과 관련된 채무
이익잉여금
- 영업이익누적액에서 배당이나 자본으로 전입되지 않은 돈
투자용 재무제표 공부는 이론적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
재무제표의 큰 틀만 알고 있어도 투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매출원가와 판관비의 구분
- 제작에 직접 들어가는 비용 : 매출원가
- 유통/마케팅 등에 들어가는 비용 : 판관비
모든 회사는 일단 영업이익을 눈여겨봐라!
현금흐름표는 현금의 흐름을 살짝 보고 부도체크만 하자.
제일 중요한 것은 주석이다!
회사 경영 활동의 모든 것은 재무상태표만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재무 상태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산총계이다.
재무제표를 보는 방법은 큰 것 ⇒ 작은 것 순으로 보라!
재무제표를 보고 회사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반응형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요약]최진기의 투자교실 - 재무제표 편(6강) (0) | 2019.01.01 |
---|---|
[강의요약]최진기의 투자교실 - 재무제표 편(5강) (0) | 2018.12.31 |
[강의요약]최진기의 투자교실 - 재무제표 편(4강) (0) | 2018.12.29 |
[강의요약]최진기의 투자교실 - 재무제표 편(3강) (0) | 2018.12.28 |
[강의요약]최진기의 투자교실 - 재무제표 편(1강) (0) | 2018.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