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강의는 우리 개인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업종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거기에 대한 제무재표를 살펴보면서

업종에 대한 제무재표의 특징이 무엇인지 알아보면서

그 업종의 튼튼한 재무제표를 가진 기업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제무재표를 보면서 알아보는 강의입니다.

개인 선호 종목
  • 10개 중 6개가 제약/바이오주!

우리가 제약주를 사는 이유
  • 커다란 주가 상승을 기대하기 때문

재무제표로 제약주 선별하기
  • 돈을 벌고 있는가?
  • 번 돈을 투자하는가?
  • 실패해도 괜찮은가?

재무제표로 보는 제약주 선별 Point
  • 영업이익
  • 연구비
  • 연구비의 비용처리 정도

제품 : 직접 개발한 의약품
상품 : 타사 상품 혹은 기능성 식품

제약회사의 마진
  • 제품 마진 > 상품 마진

제품마진율은 독점이냐 아니냐? 에 따라 많이 남냐 안남냐가 결정된다.

제약회사의 제품 마진이 큰 이유
  • 특허로 인하여 개발 회사 외 생산 불가능

광동 제약의 특징
  • '비타 500'판매로 인한 상품 매출 증가

한미약품의 특징
  • 1000여 개 이상의 특허 기반, 높은 제품 매출
  • 높은 영업이익률 + 높은 R&D 비용
  • 2017년 한미약품 연구개발비 : 1,706억
  • 연구개발비 중 88% 이상 비용 처리

셀트리온의 매출 구조
  • 100% 제품 매출로 구성 → 높은 영업이익 달성
  • 높은 영업이익률 + 높은 R&D 비용
  • 연구비의 무형자산 처리 → 자산 부풀리기 의혹
  • 2017년 셀트리온 연구개발비 2270억원
  • 2017년 연구비중 1,688억 무형자산 처리 → 무형자산으로 처리된 총 연구비 약 9,200억원
  • 자산 총계 대비 무형자산 연구비 비율 약 27%
  • 이익잉여금 대비 무형자산 연구비 비율 약 59%
  • 연구 실패 시 자본은 대폭 축소될 수 있다.

제약회사의 연구비
  • 자산일까?
    • 자산 처리시 : 무형 자산 편입
  • 비용일까?
    • 연구개발비 또는 판관비로 편입

차바이오텍의 문제점
  • 연구비를 전액 무형자산 처리 → 영업손실 감춤
  • 연구개발비 비용 전환으로 적자 발생 → 관리종목 지정

연구개발비 비용 취급시 보다 안정적인 기업으로 볼 수 있다.

좋은 제약주란?
  • 제붐 비중도 높으면서, 연구비도 많고, 비용 처리를 안정적으로 하는 회사!

재무제표는 '참고자료'일 뿐이다!

재무제표를 참고로 종목에 대한 지식과 뉴스를 기반으로 투자하라!




반응형

+ Recent posts